클리뷰 function과 기능을 정리한 것입니다...
1.1 Class(expression, interval [ , label [ , offset ]])
1.3 Date#(expression [ , format-code ])
1.5 GetAlternativeCount(FieldName)
1.6 GetCurrentField(group_name)
1.7 GetFieldSelections(field_name)
1.8 GetSelectedCount(field_name)
1.9 IF(condition, then_expr[, else_expr])
1.10 KeepChar(text, keep_chars)
1.11 Match(str, expr1 [, expr2, ...exprN ])
1.12 MAX([{set_expression}][distinct][ total [<fld {, fld}>]]expression [, rank])
1.13 MIN([{ set_expression}][distinct][ total [<fld {,fld}>]]expression [, rank])
1.14 Money(expression [, format-code [, decimal_sep [, thousands_sep ]]])
1.15 Num(expression [, format-code [, decimal_sep [, thousands_sep ]]])
1.16 PurgeChar(text, remove_chars)
1.18 Replace(text, from_str, to_str)
1.19 SubField(text, delimiter[, index])
2.1 Add Images In Table chart and List Boxes
2.5 Connect list Box or Multi Box each other
2.9 Dimension 숨기기(Talb Chart에서만 사용가능)
2.13 Loading Data From a Web Page
2.14 Loading Data From Multiple Files
2.17 Section Access (Security)
2.18 Suppress When Value Is Null
2.26 선택한 Dimension에 해당하는 것만 계산하기
2.32 테이블 차트의 사용자 지정 범위에 따른 셀 컬러 지정 방법
2.33 If문, odd문, second문, now문을 활용한 깜빡임 만들기
2.35 트리구조에서 상위계층 클릭 시 하위 계층 선택하기
2.38 컨테이너 박스를 이용한 Auto minimize 기능
2.41 Select in Field에서 복수 값 입력
1. function
1.1 Class(expression, interval [ , label [ , offset ]])
사용자가 정의하는 간격으로 데이터 범위를 분류하는 함수
결과는 ‘a <= x < b’로 표시됨
- 항목설명
expression : 분류를 만들 데이터(field_name)
interval : 정의할 간격 값, b-a 값은 interval과 같음
label : 화면에 표현할 값, 결과의 x부분에 label에서
지정하는 문자로 대체 가능
offset : 분류기준의 시작점, 일반적으로 0이 시작점
- 예
var = 23일 경우 class( var, 10 )는 '20 <= x <30'을 반환
var = 23일 경우 class( var, 5, 'value' )는 '20 <= value < 25'를 반환
var = 23일 경우 class( var, 10, 'x', 5 )는 '15 <= x < 25'를 반환
- 참고 이미지
그림 1 3개월 단위로 나누어 재고(QT_STOCK_)의 합을 나타내는 예제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x3vcIoMGEcU
1.2 Column(ColumnNo)
Column의
위치로 Column명을 대신하는 함수
일반표 또는 피벗테이블에 있는 ColumnNo열에서 발견된 값을 반환
- 참고 이미지
그림 2 Column 함수를 사용하여 Sum(QT_STOCK_)과 Sum(CT_ALL_AMT)를 합한 예제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FBtNQsHAJjQ
1.3 Date#(expression [ , format-code ])
텍스트 데이터를 날짜 데이터로 변경하는 함수
- 항목설명
expression : 날짜로 변경할 데이터(field_name)
format-code : 날짜로 변환할 때의 문자열 형식을 지정,
생략하면 운영체제에 설정된 기본 날짜 서식을 사용
- 예
A = 1997.08.06일 경우
Date#( A, ‘YYYY.MM.DD’ ) : 35648을 반환
1.4 GetActiveSheetId()
현재 선택된 Sheet의 Id를 반환하는 함수
- 참고 이미지
그림 3 현재 선택된 Sheet18의 아이디인 SH19를 반환함을 보여주는 예제
1.5 GetAlternativeCount(FieldName)
해당 필드의 선택되지 않은 값의 수를 반환하는 함수
- 참고 이미지
그림 4 DT_ENTRY_MM_ 필드의 201301과 201312가 선택되지 않아 2를 반환함을 보여주는 예제
1.6 GetCurrentField(group_name)
Dimension 그룹(cycle)에서 현재 보여지고 있는 Dimension 이름을 반환하는 함수
결과 : 선택된 Dimension의 이름이 반환됨
-항목 설명:
GroupName : Dimensions에서 생성한 Cycle 네임을 입력
-예
새로운 차트 생성
Demensions탭에서 왼쪽 하단에 Edit Groups 클릭
New 버튼 클릭
Cycle Group 생성
Expressions 생성 후 마침
Text Object 클릭
Text에다가 GetCurrentField(Cycle 네임) 입력
Apply -> OK
- 참고 이미지
그림 5 DT_ETD와 CD_PROCESS가 묶인 ccy 그룹이 Dimension
그림 6 ccy 그룹 중 현재 보여지고 있는 Dimension의 값이 DT_ETD
1.7 GetFieldSelections(field_name)
해당 필드의 선택된 값을 반환하는 함수(복수일 때는 ,로 구분)
결과: 선택된 값을 반환
-항목설명
Field_Name: 필드의 이름을 적어줌
-예
스크립트로 필드생성
Load * inline [
지역
강원도
경기도
충천도
전라도
경상도
서울
대전
대구
부산
];
TextObject에다가 함수 기입
=GetFieldSelections(지역)
필드에서 강원도,경기도,서울 선택
택스트 객체 결과: 강원도, 경기도, 서울
- 참고 이미지
그림 7 GetFieldSelections 함수를 사용한 예제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2RPR0gsNRjU
1.8 GetSelectedCount(field_name)
선택된 값의 수를 반환
-항목설명
Field_Name: 필드 네임을 입력
-예
1.스크립트로 필드생성
Load * inline [
지역
강원도
경기도
충천도
전라도
경상도
서울
대전
대구
부산
];
2.Text Object에 함수 기입
=GetSelectedCount(지역)
3.필드에서 대전, 대구, 부산 선택
4.Text Object 결과
3
- 참고 이미지
그림 8 GetSelectedCount 함수를 사용한 예제
1.9 IF(condition, then_expr[, else_expr])
- 조건절을 주어 참이면 참일 때의 값을, 아니면 참이 아닌 값을 반환
If( [조건절] , [조건절이 true일 때의 표현값], [조건절이 false일 때의 표현값]) |
- 예제
1.9.1 IF문 문자 출력 조건식
if(SubStringCount(CONCAT(FirstField,'|'),'11'),'불량', if(FirstField <>11 and Sum(SecField)>0,'정상', if( Sum(SecField)=0 ,'미입고 '))) |
1.9.2 IF문 이미지 출력 조건식
if(SubStringCount(concat(MK_FirstField,'|'),'11'),'qmem://<bundled>/BuiltIn/smiley3_r.png', if(MK_FirstField <>11 and Sum(SecField)>0 , 'qmem://<bundled>/BuiltIn/smiley1_g.png', if(Sum(SecField)=0 ,'qmem://<bundled>/BuiltIn/smiley2_y.png'))) |
- 참고 이미지
그림 9 조건에 따라 적색 그림의 불량, 녹색 그림의 정상으로 나누어 출력
1.10 KeepChar(text, keep_chars)
지정한 문자열에 속하는 문자열만 출력하는 함수
- 예제
LOAD KeepChar(Product, 'abcdefg123456789') as Product FROM asdf; |
수행결과 Product -> Product abc.145 abc145 cddf##123 cddf123 ABC..456 456 |
- 참고 이미지
그림 10 KeepChar 함수를 사용한 예제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i2yBopaNaeI
1.11 Match(str, expr1 [, expr2, ...exprN ])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비교를 수행하고 그 값을 반환하는 함수
- 항목설명
str : 문장
expr1 : 비교할 문장1
[exprN : 비교할 문장N]
- 예제
Match( _Dimension , 'Jan', 'Feb', 'Mar' ) |
수행결과 _Dimension = Feb일 경우 2를 반환 _Dimension = Apr 또는 jan일 경우 0을 반환 |
- 참고 이미지
그림 11 Match 함수를 사용한 예제로, ‘Jan’이 1, ‘Feb’가 2, ‘Mar’이 3, 나머지는 0
그림 12 Match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별함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gOFYECWOomc
1.12 MAX([{ set_expression }][distinct][ total [ <fld {, fld }>]]expression [, rank])
최대값을 구하는 함수
- 항목설명
set_expression : 1이면 반복
distinct : 중복제거
total : 합계
fld : 필드명
expression : 표현할 필드명이나 값
rank : N 번째 큰 값을 반환
- 예제
Max( Sales ) Max( Sales, 2 ) Max( Price * Quantity ) Max( total Sales ) Max( {1} total Sales ) |
1.13 MIN([{ set_expression }][distinct][ total [ <fld {, fld }>]]expression [, rank])
최소값을 구하는 함수
- 필드 설명
set_expression : 1이면 반복
distinct : 중복제거
total : 합계
fld : 필드명
expression : 표현할 필드명이나 값
rank : N 번째 작은 값을 반환
- 예제
Min( Sales ) Min( Sales, 2 ) Min( Price * Quantity ) Min( total Sales ) Min( {1} total Sales ) |
1.14 Money(expression [, format-code [, decimal_sep [, thousands_sep ]]])
화폐 형식 지정 함수
- 항목설명
expression : 표현할 필드명이나 값
format-code : 숫자 형식
decimal_sep : 소수점 구분 기호
thousands_sep : 천 단위 구분 기호
- 예제
= MONEY(field_name, ' #,##0', '.', ',') |
- 참고 이미지
1.15 Num(expression [, format-code [, decimal_sep [, thousands_sep ]]])
숫자 형식 지정 함수
- 항목설명
expression : 표현할 필드명이나 값
format-code : 숫자 형식
decimal_sep : 소수점 구분 기호
thousands_sep : 천 단위 구분 기호
- 예제
Num(field_name, ‘\#,##0; -\#,##0) -> 필드에 50000이라는 숫자가 있을경우 \50,000으로 표시 -> 필드에 -50000이라는 숫자가 있을경우 -\50,000으로 표시 |
- 참고 자료(엑셀)
기본서식 데이터 |
사용자정의 서식코드 |
표시형태 |
설명 |
0.675 |
0000.00 |
0000.68 |
자릿수만큼 0 표시 |
0.675 |
####.## |
.68 |
유효숫자만 표시 |
0.675 |
#,##0.0 |
0.7 |
천단위콤마와 유효자리수만표시 |
1234.56 |
#,##0.0 |
1,234.6 |
|
12.25 |
#,##0.0 % |
1,225.0 % |
백분율 표시 |
0.5 |
#,##0.0 % |
50.0 % |
|
1.25 |
? ?/?? |
1 1/4 |
분수 표시 |
44.398 |
???.??? |
44.398 |
소수점 자리 위치를 맞춤 |
102.65 |
???.??? |
102.65 |
|
2.8 |
???.??? |
2.8 |
|
-100 |
#,##0;[빨강]"▼" #,##0 |
▼100 |
양수/음수에 따라 다르게 표현 |
100 |
#,##0;[빨강]"▼" #,##0 |
100 |
|
3000 |
#,##0 "명" |
3,000 명 |
텍스트 표시 |
2 |
#,##0 "명" |
2 명 |
|
홍길동 |
@ "고객" |
홍길동 고객 |
문자 데이터 뒤에 문자표시 |
정유진 |
@ "고객" |
정유진 고객 |
- 참고 이미지
그림 13 Num 함수를 사용한 예제
1.16 PurgeChar(text, remove_chars)
문자열 text에서 remove_chars에 포함된 문자를 모두 제외한 문자열을 반환 하는 함수
- 예제
PurgeChar('a1b2c3','123') 의 결과 -> 'abc' |
- 참고 이미지
그림 14 PurgeChar 함수를 이용한 예제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vDZ8DIj1qcs
1.17 ReloadTime()
스크립트가 재실행을 최종적으로 마친 때의 타임스태프를 반환하는 함수
- 참고 이미지
그림 15 ReloadTime 함수를 이용한 예제
1.18 Replace(text, from_str, to_str)
문자열 s내에서 특정 부분 문자열의 모든 발견 항목을 다른 부분 문자열로 대체한 후의 문자열을 반환 합니다. 이 함수는 비재귀적이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작동 합니다.
text는 원래 문자열입니다.
from_str은 문자열 내에서 한 번 이상 발생할 수 있는 문자열 입니다.
to_str은 문자열 내 from_str의 모든 발견 항목을 대체할 문자열 입니다.
- 예제
Replace('abccde','cc','xyz') 수행결과 -> 'abxyzde' |
- 참고 이미지
그림 16 Replace 함수를 사용한 예제
- 참고 사이트(Replace 응용편)
http://www.youtube.com/watch?v=ghQfeJ6l7IY
1.19 SubField(text, delimiter[, index])
3파라메터(text,delimiter,index) 버전의 경우 이 스크립트 함수는 구분기호 'delimiter'가 포함된 더 큰 문자열 text에서 특정 부분 문자열을 반환 합니다. index는 반환할 부분 문자열을 지정하는 선택적 정수 입니다. load문의 필드 표현식에 subfield를 사용 할 때 index를 생략하면 subfield 함수가 load문이 text에서 발견 될 수 있는 각각의 부분 문자열에 대해 하나의 완벽한 입력 데이터 레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만듭니다.
2파라메터 버전(text,delimiter)의 경우 subfield 함수는 구분기호 'delimiter'가 포함된 더큰 문자열 text에서 가져올 수 있는 각 부분 문자열당 하나의 레코드를 생성합니다. 동일한 load문에 여러 subfield함수를 사용할 경우 모든 조합의 카티션 곱이 생성 됩니다.
- 예제
(3파라메타의 경우) subfield(text, ';', 2) text가 'abc;cde;efg'이면 'cde'를 반환 합니다. subfield(text, ';', 1) text가 빈 문자열이면 NULL을 반환 합니다. Subfield(text, ';', 1) text가 ';'이면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
- 참고 이미지
그림 17 SubField 함수를 사용한 예제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xv_jgqghOM0
1.20 차트 텍스트 꾸미기(HTML 태그)
차트내부의 Text format 설정에서 몇 가지 HTML 코드를 사용 가능합니다.
적용 코드 : <B>,<i>,<U>,<H> 코드
- 설정방법
Chart Properties -> Expressions -> Text Format -> Definition |
- 참고 이미지
그림 18 Chart의 Text Style을 지정
2. 기능
2.1Add Images In Table chart and List Boxes
Table chart나 listBoxs에서 텍스트 값을 이미지로 변경하여 출력
1) Edit Script
1-1) ImagesPath 지정
ImageTable: BUFFER INFO LOAD * INLINE [ CD_CURR, ImagesPath USD, usd.png THB, thb.png ]; |
* qvw 파일과 Image 파일들이 같은 폴더에 위치해 있음을 가정
2) Table Chart 또는 List Box 설정
2-1) Table Chart인 경우
2-1-1) Table Chart의 Properties의 Presentation탭 선택
2-1-2) Wrap Cell Text를 체크하고 Cell Height의 값을 높임
그림 19 Cell Height 설정
2-1-3) Table Chart의 Properties의 Dimensions탭
선택
2-1-4) "Advanced .." 버튼
클릭하여 Advanced Field Settings 창 오픈
2-1-5) Representation 부분을 "Info as Image"로 선택
그림 20 Representation 설정을 Text에서 Info as Image로 수정
2-1-4) Image Formatting 부분을 "Fill" 또는 원하는 항목으로 선택
2-1-4-1) No Stretch : Image의 원본 사이즈로 출력
그림 21 Image Formatting 설정을 No Stretch로 설정한 화면
2-1-4-2) Fill : 셀 크기에 딱 맞는 사이즈로 출력
그림 22 Image Formatting 설정을 Fill로 설정한 화면
2-1-4-3) Keep Aspect : 가로 사이즈가 셀 가로 크기에 맞게 출력되고,
세로 사이즈는 Image의 비율에 따라 조정됨
그림 23 Image Formatting 설정을 Keep Aspect로 설정한 화면
2-1-4-4) Fill with Aspect : 세로 사이즈가 셀 세로 크기에 맞게 출력되고,
가로 사이즈는 Image의 비율에 따라 조정됨
그림 24 Image Formatting 설정을 Fill with Aspect로 설정한 화면
2-2) List Box인 경우
2-2-1) List Box의 Properties의 Presentation탭 선택
2-2-2) Representation 부분을 "Info as Image"로 선택
2-2-3) Image Formatting 부분을 "Fill" 또는 원하는 항목으로 선택
그림 25 List Box Properties에서 Representation과 Image Formatting을 설정
2-2-4) 결과화면
그림 26 List Box에서 텍스트 값을 이미지로 변경하여 출력한 화면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WUM-6qu2yb8
2.2 Alternate States
상태 저장 변수, 같은 그래프를 다른 상태로 표현 가능
1) Document Properties
1-1) General 탭 선택
1-2) "Alternate States... " 버튼을 클릭
1-3) "Add..." 버튼을 클릭하여 New State Name 창 오픈
1-4) Alternate State로 사용할 이름을 입력하고 "OK" 버튼 클릭
그림 27 Alternate States를 2개 추가
2) Chart Properties
2-1) General 탭 선택
2-2) Alternate State 부분을 사용할 Alternate State명으로 선택
그림 28 Objects의 Alternate State를 <inherited>에서 1로 변경
- 참고 이미지
그림 29 왼쪽 그래프는 Alternate State가 1로 설정되어 있고
오른쪽 그래프는 Alternate State가 2로
설정되어 있어
양쪽의 그래프 모두 동일한 Dimension과
Measure값을 가지나
다른 상태를 표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화면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F1-qAgqyB2c
2.3 Changes Sheet Tab color
Sheet Tab을 눌렀을 때 선택된 Tab 색만 변경되게 하는 기능
1) Sheet Tab
1-1) 변경할 Sheet Tab을 선택
1-2) Sheet Tab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여 Sheet Properties 선택
1-3) General 탭을 선택한 후 Tab Settings를 "Custom Colors"로 선택
1-4) 수식입력
=if(GetActiveSheetId()='Document\[시트ID]', [색상]) 예) =if(GetActiveSheetId()='Document\SH01', RGB(0,125,0)) |
그림 30 Sheet Properties에서 Tab Color의 수식을 입력하는 화면
1-5) 결과화면
그림 31 선택한 Sheet의 Tab Color만 붉은색으로 변경하는 결과 화면
2.4 Color Brushing Bar
부분 선택을 해도 Bar의 모양과 수는 변하지 않고, 선택된 Bar의 색만 변화하는 Bar Chart
1) 부분 선택을 해도 Bar의 모양과 수는 변하지 않는 기능
1-1) Chart Properties의 Expressions 탭 선택
1-2) Definition 부분에 수식입력
{<Dimension_field_name=>}Measure_field_name 예) Sum ({<NO_PARTS__, DT_INVENT_FLUCT_MM__=>}QT_FLUCT__) |
그림 32 Definition 부분에 수식을 입력하는 화면
2) 선택된 Bar의 색만 변화하는 기능
2-1) Chart Properties의 Expressions 탭 선택
2-2) 왼쪽에 정의된 Definition의 +버튼을 눌러 속성을 펼침
2-3) "Background Color"를 선택하고 Definition 부분에 수식입력
IF(Match(Dimension_field_name, Dimension_field_name), Color) 예) IF(MATCH(NO_PARTS__, NO_PARTS__), Blue()) |
그림 33 선택한 값의 색을 변경시키는 수식을 입력하는 화면
그림 34 결과 화면으로, 왼쪽이 이 기능을 이용한 그래프,
오른쪽이 동일한 Dimension과 Measure 값을
가진 일반적인 그래프
2.5 Connect list Box or Multi Box each other
상위 필드 선택했을 경우 선택 가능한 하위 필드만 출력하는 기능
1) List Box
1-1) 대분류로 사용할 List Box 생성
1-1-1) List Box Properties의 General 탭 선택
1-1-2) Field 부분에 원하는 Field name을 선택
1-2) 중분류로 사용할 List Box 생성
1-2-1) List Box Properties의 General 탭 선택
1-2-2) Field 부분의 제일 아래 부분에 위치한 <Expression>을 선택
1-2-3) 수식입력
= IF(FatherFieldName=getFieldselections(FatherFieldName), SonFieldName) 예) = IF(Year = GetFieldSelections(Year), Month) |
1-3) 소분류로 사용할 List Box 생성
1-3-1) List Box properties의 General 탭 선택
1-3-2) Field 부분의 제일 아래 부분에 위치한 <Expression>을 선택
1-3-3) 수식입력
= IF(FatherFieldName=getfieldselections(FatherFieldName), IF(SonFieldName=getfieldselections(SonFieldName), GrandSonFieldName)) 예) = IF(Year = GetFieldSelections(Year), IF(Month = GetFieldSelections(Month), Day)) |
그림 35 소분류 List Box의 수식을 입력하는 화면
1-4) 결과화면
그림 36 아무 값도 선택하지 않았을 때의 List Box 화면
그림 37 대분류 List Box인 Year에서
2013을,
중분류 List Box인 Month에서 06을 선택했을 때의 결과 화면
2) Multi Box
2-1) 대분류로 사용할 Multi Box 생성
2-1-1) Multi Box Properties의 General 탭 선택
2-1-2) Available Fields 부분에 원하는 Field name을 선택
2-2) 중분류로 사용할 Multi Box 생성
2-2-1) Multi Box Properties의 General 탭 선택
2-2-2) "Expression > " 버튼을 선택
2-2-3) 수식입력
= IF(FatherFieldName=getFieldselections(FatherFieldName), SonFieldName) 예) = IF(Year = GetFieldSelections(Year), Month) |
2-3) 소분류로 사용할 Multi Box 생성
2-3-1) Multi Box Properties의 General 탭 선택
2-3-2) "Expression > " 버튼을 선택
2-3-3) 수식입력
= IF(FatherFieldName=getfieldselections(FatherFieldName), IF(SonFieldName=getfieldselections(SonFieldName), GrandSonFieldName)) 예) = IF(Year = GetFieldSelections(Year), IF(Month = GetFieldSelections(Month), Day)) |
2-4) 결과화면
그림 38 소분류 Multi Box의 수식을 입력하는 화면
그림 39 아무 값도 선택하지 않았을 때의 Multi Box 화면
그림 40 대분류 Multi Box인 Year에서
2013을,
중분류 Multi Box인 Month에서 06을 선택했을 때의 결과 화면
2.6 Count Reloads
Reload 횟수를 세는 기능
1) 변수 설정
1-1) Settings 탭의 "Variable Overview..."을 선택
1-2) "Add... " 버튼을 클릭하고 변수명을 입력하여 사용할 변수를 생성
그림 41 사용할 변수를 추가하는 화면
2) Document Properties
2-1) Triggers 탭을 선택
2-2) Document Event Triggers의 "OnPostReload"를 선택한 후
"Add Action(s)..." 버튼을 클릭
2-3) "Add" 버튼을 클릭한 후 Action Type:은 "External",
Action은 "Set Variable"로 설정한 후 "OK" 버튼을 클릭
그림 42 사용할 Set Variable Action을 추가하는 화면
2-4) Variable 부분에 변수명을 입력
2-5) Value 부분에 다음 수식을 입력
=$(변수명)+1 예) =$(reloadcounter)+1 |
그림 43 어떤 변수에 어떤 값을 넣는 Action을 취할 건지 입력해주는 화면
3) Reload 횟수 출력
3-1) Text Object 생성
3-2) Foreground 부분의 Text 부분에 $(변수명)을 입력
그림 44 reloadcounter 변수 출력 및 결과 화면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rSBzyhAPzUw
2.7 Custom Format Cell
Table Chart의 Cell Color를 변경할 수 있는 Design Menu 활성화
1) Design Menu 활성화 설정
1-1) User Preferences의 Design 탭 선택
1-2) Always Show Design Menu Items 체크
그림 45 Custom Format Cell 나타내기
2) 생성된 Design Menu 사용
2-1) Table Chart Object의 Cell 안쪽에서 마우스 우클릭
2-2) Custom Format Cell 선택
그림 46 Custom Format Cell 실행
2-3) Table Chart의 Backgound Color, Text Color 등을 변경
그림 47 셀 색상 변경
2.8 Cycle and Drill Drop
마우스 클릭으로 Chart의 Dimension을 교체하며 나타내주는 기능
1) Dimension 그룹 만들기
1-1) Chart Properties의 Dimension 탭 선택
1-2) "Edit Groups..." 버튼을 클릭하고 "New..." 버튼을 클릭
1-3) Group Name에 원하는 그룹명을 입력
1-4) Drill-down Group이나 Cyclic Group 중 원하는 항목 선택
1-5) Available Fields에서 그룹으로 만들 Field들을 선택하여 Used Fields로 이동
그림 48 DT_ETD와 CD_PROCESS를 포함한 ccy Group을 생성하는 화면
2) 생성한 그룹을 Dimension으로 사용하기
2-1) Chart Properties의 Dimension 탭 선택
2-2) Available Fields/Groups에서 사용할 그룹 선택하여 Used Dimensions로 이동
그림 49 생성한 ccy 그룹을 Dimension으로 사용
그림 50 ccy 그룹을 Dimension으로 사용한 결과화면으로,
둥그런 화살표 모양을 클릭하면 Dimension이
DT_ETD에서 CD_PROCESS로 변화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TEQy8JuMpp0
2.9 Dimension 숨기기(Talb Chart에서만 사용가능)
Dimension에는 속해있지만 Chart에서는 숨기기
- Chart Properties
Presentation -> Columns -> 원하는Column 지정 후 Hide Column 체크 |
- Chart Properties
그림 51 컬럼 숨기기
2.10 Extension Objects
WebView에서만 사용 가능한 추가 Objects
- 생성 Objects
Bullet Chart, Calendar, Geographic Heat Map, Org Chart, QlikView Mapping Example, Web Page |
- 생성 경로
C:\%ProgramFilesFolder\QlikView\Examples\Extensions\Extension Examples.qar 실행 |
- 저장 경로
C:\Users\CHAE\AppData\Local\QlikTech\QlikView\Extensions\Objects\QlikView\Examples |
- 참고 이미지
그림 52 Extension Objects 생성
2.11 Hide Excluded
ListBox에서 선택시 선택되지 않은 다른 값들은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한 방법.
- List Properties
General -> Hide Excluded 체크 |
- 참고 이미지
그림 53 선택되지 않은 값 숨기기
2.12 INPUTFIELD
InputField로 지정한 컬럼에 직접 필드의 값을 지정할 수 있다.
- 예제
Script Edit INPUTFIELD 수량; Table Chart 생성 Demensions -> 제품 Expression코딩 è Inputsum(수량) è Sum(가격) è Inputsum(수량) * Sum(가격) |
수행결과 수량 입력에 따른 Inputsum(수량)*Sum(가격)의 값 변화. |
1.입력할 inputsum(수량)로우에 마우스를 갔다 대면 화살표가 뜸.
2.클릭하게 되면 입력이 가능하게 됨.
3.숫자를 입력
4. 111을 입력하게 되면 inputsum(수량)과 sum(가격)이 곱해진 값이 inputsum(수량)*sum(가격)에 값으로 나타나게됨.
2.13 Loading Data From a Web Page
Web Page에서 데이터를 Load
1. Script Edit 클릭
2. 중앙 하단에 Field Data 클릭
3. Internet File에다가 URL 입력 후 Next
4. Tables에서 생성할 테이블 선택
5. 한글일 경우 Character Set에서 코드 변경
6. Finish후 데이터 삽입 됐는지 확인
- 참고 이미지
그림 54 데이터를 Loading할 WebPage 설정
그림 55 Table과 Character Set 설정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2QzbRpG2ck
2.14 Loading Data From Multiple Files
여러 파일에서 데이터 한 번에 Load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VhaIaO156JM
2.15 Mini Charts
테이블 셀 안에 차트를 생성
1.Table Chart Properties에서 Expression텝으로 이동
2.미니차트로 보여줄 Expression 생성후 가운데 하단에 Mini Chart Settings 클릭
3.Mode에서 바차트 Sparkline차트, Line With Dots차트, Dots차트, Whiskers차트 선택 후 확인
4.적용후 확인
5.해당 Expression의 차트가 테이블차트 각 셀에 만들어지게 됨
- 참고 이미지
그림 56 Mini Chart 설정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OrMFERZ_1Is
2.16 Reference Line
차트에 자신이 원하는 선을 입력하는 기능
= 설정
Chart [Properties]에서 [Presentation]탭을 선택 -> 'Reference Lines'에서 추가를 하여 원하는 수식을 입력해 출력 |
-
참고 이미지
그림 57 설정 화면
그림 58 결과 화면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ZtWiVLSsS-g
2.17 Section Access (Security)
유저별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따로 설정
- 참고 이미지
그림 59 Section Access Inline 설정
그림 60 Access Restriction Table Wizard
그림 61 생성된 Edit Script
- 참고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LimUIy164d4
2.18 Suppress When Value Is Null
자동 조인되어 필드 값이 맞지 않아 Null값이 출력되는 경우, Null을 제외하는 방법
1) Chart
1-1) Chart Properties의 Expressions탭 선택
1-2) Settings for Selected Dimensions 부분에서 "Suppress When Value Is Null 체크
- 참고 이미지
그림 62 Null 값 숨기기
그림 63 결과 화면으로, 왼쪽부터 기능 체크한 것과 안 한 것의 차이
2.19 Trendlines
Bar Chart의 Bar 안쪽에 추세선 출력
1) Bar Chart 설정
1-1) Chart Properties의 Expressions탭 선택
1-2) Trendlines 부분에서 원하는 항목 체크
- Trendlines 항목
Average (평균) Linear (선형) Polynomial of 2nd (2차 다항식) Polynomial of 3rd d (3차 다항식) Polynomial of 4th de (4차 다항식) Exponential (지수) |
- 참고 이미지
그림 64 원하는 Trendlines을 체크
2.20 Value Inside Segments
Bar Chart의 Bar 안쪽에 값 출력
1) Chart 설정
1-1) Chart Properties의 Expressions탭 선택
1-2) Display Options 부분에 "Values on Data Points 체크
1-3) Chart Properties의 Presentation탭 선택
1-4) Values on Data Points 부분에 "Plot Values Inside Segments 체크
- 참고 이미지
그림 65 데이터 값 표시
그림 66 Bar 안쪽에 값 표시
2.21 날짜 기간 검색
1) 변수 2개 생성
1-1) Settings 에서 Variable Overview 설정 (단축키 : Ctrl + Alt + V)
(ex. vStartDate와 vEndDate)
2) 달력 컴포넌트 2개 생성
2-1) Create Slider/Calendar Object 클릭
2-2) Input Style을 Calendar로 바꾼다
2-3) Data부분에 Variable(s)을 선택한 다음, 만든 변수로 설정한다 (ex. vStartDate)
2-4) Min Value부분에 "= min({1}DateFieldName)" 입력한다
2-5) Max Value부분에 "= max({1}DateFieldName)" 입력한다.
2-6) Number탭에서 Date형식으로 지정한다
2-7) 남은 달력 컴포넌트를 2-1)~2-6)까지 반복한다 (ex. vEndDate)
3) 버튼 1개 생성
3-1) Button Object에 Actions탭 선택
3-2) Add버튼을 클릭하여 Action Type은 "Selection" 선택
3-3) Action은 "Clear All"선택
3-4) 3-2)를 한번 더 수행한 다음, Action은 "Select in Field"선택
3-5) Field부분에 보여줄 날짜필드명을 선택 (ex. DT_ETD)
3-6) Search String부분에 "='>='& vStartDate & '<=' & vEndDate" 입력
- 참고 이미지
그림 67 변수 설정
그림 68 Calendar Object 생성
그림 69 Calendar Object에 변수 설정
그림 70 버튼 설정
그림 71 결과 화면으로, 달력에 날짜 지정 후 검색버튼으로 날짜 검색
2.22 드릴다운
1) 설정
1-1) Settings에 Document Properties 선택(단축키 : Ctrl + Alt + D)
1-2) Groups탭 선택
1-3) 관련 필드명 선택한 다음 생성
1-4) 그룹으로 만든 필드명을 Dimension으로 사용
그림 72 그룹 생성
그림 73 생성한 그룹을 Dimension으로 사용
그림 74 Bar Chart에서 드릴 업다운 결과 화면
2.23 레이아웃 구성 메뉴 확장
Chart Properties의 Layout탭에 Use Borders와 Rounded Corners가 없는 경우, 보이게 하는 방법
1) 설정
1-1) Settings에 Document Properties 선택(단축키 : Ctrl + Alt + D)
1-2) General탭을 선택
1-3) Styling Mode에서 "Advanced"를 선택
- 참고 이미지
그림 75 레이아웃 확장 전 화면
그림 76 레이아웃 확장
그림 77 결과 화면(확장된 레이아웃)
2.24 버튼으로 Dimension 안의 값 선택하기
버튼을 눌러 Dimension 값을 바꾸어 그 값에 맞는 그래프나 테이블을 출력하는 기능
1) 버튼 생성
1-1) Button Properties의 Actions탭에서 Add를 누른다
1-2) Action Type은 "Selection", Action은 "Select in Field"를 선택한다
1-3) Field에 사용할 차트 Dimension 필드명을 입력한다
1-4) Search String에 매칭시킬 문자열을 입력한다
- 참고 이미지
1. 버튼 생성 2. Select
in Field 추가 3. 필드명 입력 4. 매칭시킬 문자열 입력
그림 78 버튼 생성
이 버튼을 누르면 왼쪽 차트가 오른쪽 차트로 변경됨
그림 79 왼쪽 차트는 버튼을 안 눌렀을 경우, 오른쪽 차트는 버튼을 눌렀을 경우
2.25 버튼으로 컴포넌트 Show Hide
1) 변수 생성 (ex. ShowHide)
2) 버튼 2개 생성(ex. Show, Hide)
2-1) Show버튼 생성
2-1-1) Button Properties의 Action탭에서 Add를 누른다
2-1-2) Action Type은 "External", Action은 "Set Variable" 선택
2-1-3) Variable은 변수명(ex.ShowHide), Value는 0
2-1-4) Layout탭 Show부분에 Conditional선택
2-1-5) Conditional은 "ShowHide=1"
2-2) Hide버튼 생성
2-2-1) 2-1-1)~2-1-5)반복하면서 Value는 1
2-2-2) Conditional은 "ShowHide=0"
3) ShowHide기능을 사용하고 싶은 컴포넌트에 조건 입력
3-1) 해당 컴포넌트 Properties의 Layout탭을 선택한다
3-2) Show부분에 Conditional을 클릭한다
3-3) "ShowHide=1"을 입력한다
- 참고 이미지
그림 80 변수 설정
그림 81 Show 버튼에 Action 설정
그림 82 Hide 버튼에 Action 설정
그림 83 해당 Object에 Conditional 설정
2.26 선택한 Dimension에 해당하는 것만 계산하기
list Table에서 필드를 선택했을 때 선택한 값만 테이블에 표시되어 그 부분만 수식을 구해서 표시하는 기능
1) 필드명 목록으로 Dimension 생성
1-1) File에서 Edit Script 선택(단축키 : Ctrl + E)
1-2) 사용할 Dimension으로 필드명을 선언한다
Dimension: LOAD * INLINE [ _Dimension NO_PARTS_7 Group_7 CT_ALL_7 ]; |
1) List Box 생성
1-1) List Box Properties의 General탭을 선택한다
1-2) Field부분에 선언한 필드명을 선택한다
1-3) Presentstion탭에서 Selection Style Override부분에서 "LED Check boxes"선택한다
2) 차트 생성
2-1) Chart Properties의 Dimensions탭에서 사용한 Dimension 각각 Settings for
Selected Dimension부분에 "Enable Conditional"을 체크한다
2-2) 다음 수식을 입력한다
= SubStringCount(Concat([Edit Script에 선언한 필드명], '[구분하기 위한 기호]'), '[선택한Dimension명]') ex) = SubStringCount(Concat(_Dimension, '|'), '_NO_PARTS') |
- 참고 이미지
그림 84 필드명 선언 스크립트 화면
그림 85 설정 화면
그림 86 기본 화면
그림 87 Dimension을 하나만 선택한 경우
그림 88 Dimension을 두 개 선택한 경우
2.27 시트 조회수 자동COUNT
사용자가 해당 시트를 열어볼 때마다 시트열람 조회수를 계산하여 표현해주는 기능
1) 변수 생성
Setting-Variable Overview-Add-'vCount'변수 생성-기본값 0 지정
그림 89 시트조회수 변수생성
2) 매크로 생성
메뉴 단 Tools-Edit Module클릭[우측에 하단 텍스트박스 내용 입력-
Requested Module Security : System Access로 설정-
Current Local Security : Allow System Acess로 설정-Test로 최종확인]
Sub Increment TheVal = ActiveDocument.Variables("'vCount'").getcontent.string '변수 문자열 소환 TheVal = TheVal + 1 '소환된 값에 + 1 ActiveDocument.Variables("'vCount'").SetContent TheVal, True '변수에 theVal(+1된 값) 설정 End Sub |
- 생성 예시
그림 90 매크로 생성
3)Sheet Properties 설정하기
-해당시트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Sheet Property -Triggers-OnActiveSheet-Add ->External의 Run Macro 선택-> 생성한 Increment 매크로를 Macro Name에 입력 |
그림 91 시트 프로퍼티 설정
4) Text Object 생성
Text 안에 =vCount &'번째 접속하셨습니다.' 입력. |
5) 해당 시트를 클릭 시마다 조회수가 상승
그림 92 결과 화면
2.28 입력 값 범위 색깔 변경
특정 값을 인풋박스에 입력하면 그 값을 기준으로 피벗&스트레이트 차트 내부의 셀 배경색을 바꾸게 할 수 있는 기능
- 실행단계
변수 'vInput' 생성 -> 변수 'vInput'을 인자로 갖는 Input box 생성 -> 스트레이트 차트 or 피벗 차트 생성 ->차트 Properties-> Visual Cues -> upper혹은 lower에 변수 'vInput' 입력 -> Input Box에 숫자 입력->결과 확인 |
- 예시
1) 변수생성
그림 93 vInput 변수 생성
2) 인풋박스 생성
그림 94 Input Box 생성과 변수 지정
3) 스트레이트(피벗) 차트 생성
그림 95 스트레이트 차트 생성
4) Visual Cues 지정
그림 96-차트 속성)Visual Cues
5) 결과화면
그림 97 결과)인풋박스 값 입력과 차트 배경색 변화
2.29 자동 조인 방지
Qlikview의 기능인 자동조인을 막아주는 기능
Alias변경이나 컬럼명 변경으로도 가능하며,Qualify 함수를 사용한 예제를 설명
2.29.1테이블 독립적으로 불러오기
다른 테이블과 중복된 칼럼명이 있는 테이블을 조인 없이 불러오고 싶을 때
- QUALIFY() 사용 : Qualify*;와 UnQualify*;를 데이터 로딩 스크립트 앞뒤에 입력
그림 98 스크립트 실행
QUALIFY*; Field2, Field3 FROM |
- Qualify된 데이터는 '테이블명.필드명'으로 표기됨(일반적으로는 '필드명'만 표기)
독립된 테이블 구성을 유지할 수 있음.
그림 99 Qualify()한 Sheet1과 바로 로딩한 Sheet1-1
2.29.2특정 칼럼 독립적으로 불러오기
테이블 내에서 특정 칼럼만 조인을 방지 하고 싶을 때
- Qualify () 사용 : 해당 필드명 입력 후 나머지 테이블 로딩,
QUALIFY Field1; Field3 FROM |
그림 100 결과 화면으로, Field1만 조인에서 분리
2.30 차트 안 사이즈 변경
차트 안에 그래프나 범례 사이즈 변경 시 사용하는 기능
- 변경할 차트를 선택 -> Ctrl + Shift 누르고 있으면서 마우스로 조절
- 범례가 길어서 화면 표기가 안될 시 유용하게 사용 가능
그림 101 Ctrl + Shift 누르고 있는 화면
2.31 차트테이블에 그림 로드 하기
차트 테이블에 원하는 이미지를 로드 하여 기존 데이터와 매칭되게 표현하는 기능
- 설정방법
이미지 경로를 가진 데이터를 로딩-> 기존데이터와 매칭될 수 있게 인라인 설정 or 컬럼 매칭 -> 표현식-Images클릭- 추가된 폴더와 컬럼명 추가 코딩->확인 |
- 예시
1) 이미지 경로 설정한 엑셀 파일
그림 102 num 컬럼을 기점으로 loading 컬럼에 그림파일 경로 지정
2) 기존데이터와 매칭될 수 있게 인라인 설정 or 컬럼 매칭
이미지 로드
엑셀파일의 경우 반드시 LOAD앞에 Bundle 또는 Info를 넣어주어야 이미지가
뜸 예제로 직접
코딩한 부분.
그림 103 Edit Script 코딩
3) 추가된 폴더와 컬럼명 추가 코딩(생성된 Num/을 선택후 only(컬럼명)추가 )
그림 104 Expression 값
4) 결과 확인
그림 105 완성본 예제
그림 106 선택시 예제
2.32 테이블 차트의 사용자 지정 범위에 따른 셀 컬러 지정 방법
테이블 내에서 사용자 임의로 설정한 범위 값에 각각 다른 색의 배경을 지정 할 수 있는 기능
-설정방법
차트 Property- Expression-왼쪽 상단 Expression에 +를 클릭하여 속성 펼침- Bacground Color 클릭 - Definition 코딩-결과 확인 |
- Definition
if( sum(QT_CUST_CLEA) > 0, if(sum(QT_CUST_CLEA)<500
and 1<=sum(QT_CUST_CLEA) ,red() , if(sum(QT_CUST_CLEA)<2000
and 500<=sum(QT_CUST_CLEA),blue(), if(sum(QT_CUST_CLEA)<4000
and 2000<=sum(QT_CUST_CLEA),green(), if(sum(QT_CUST_CLEA)<12000
and 4000<=sum(QT_CUST_CLEA),yellow(), if(sum(QT_CUST_CLEA)<30000
and 12000<=sum(QT_CUST_CLEA),LightBlue() ))))))
- 참고 이미지
그림 107 설정 화면
그림 108 결과 화면
2.33 If문, odd문, second문, now문을 활용한 깜빡임 만들기
오브젝트 내부의 색깔을 초단위로 변화하게 하여 깜빡임을 표현하는 기능
-설정방법
차트 작성-> 차트 Property -> Colors 탭-> 색 선택 후 Based Color-Calulated->함수입력 -> 결과확인 |
예제차트를 작성
하기 위한 인라인 로드.
그림 109 예제 스크립트
그림 110 차트 속성의 색 탭에 들어가기
그림 111 Expression 함수 기입하고 확인 후 적용
현재시간 초를 구해서 1초마다 홀,짝으로 구분하여 색상이 변함
그림 112 결과 화면
- Odd문() : 홀수를 찾는 함수
- Second() : 초를 세는 함수
- Now() : 현재 시간을 반환하는 함수
If(odd(second(now(1))),RGB(255,0,0),RGB(0,0,255)) -> now함수로 현재 시간을 기점으로 second함수로 초를 가져오고 -> 가지고 온 초를 odd함수로 홀수인지 비교하여 -> 홀수면 true RGB(255,0,0) 값을, -> 짝수이면 false RGB(0,0,255) 값을 반환. |
2.34 파이차트 표현 기능
Pie Chart 를 벌어진 간격으로 표현하는 기능
-설정방법
차트 Properties ->Expressions -> Pie PopOut : 1 |
- 참고 이미지
그림 113 벌어진 차트 표현
2.35 트리구조에서 상위계층 클릭 시 하위 계층 선택하기
트리 구조에서 상위레벨의 필드 값을 클릭 했을 때 소속된 값들을 보여주는 기능
-설정방법
1) 필드명과 계층구조를 위해 번호, 상위번호를 인라인으로 설정 2) Hierarchy를 사용하여 계층구조 설정 3) Path폴더를 엮어 리스트박스에 코딩 |
- 예시
1) 인라인 설정 및 계층구조 설정
그림 114 스크립트 코딩
2) 리스트박스 내 Path 폴더 코딩
그림 115 Listbox 코딩
3) 결과화면
그림 116 가요 선택 시 리스트박스
2.36 QVD 파일 생성과 로딩
QVD파일을 생성함으로써 파일에서 로딩이 가능하며 10~100배정도 빠른 속도 향상
-생성법
파일생성
스크립트- Store 테이블명 Into 파일명(QVD); |
파일로딩
스크립트-테이블명: LOAD FieldList From Qvd파일명(QVD); |
- 스크립트 코딩과 파일 생성의 예시
그림 117 스크립트 코딩
- 스크립트 코딩과 파일 생성의 예시
그림 118 QVD파일 생성
- 생성한 QVD파일 로딩과 필드 값 로딩 확인
그림 119 QVD파일 로딩
2.37 세션 공유
서버에서 세션을 공유하여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
- 설정법
클릭뷰 매니지먼트 콘솔 -> 세션 공유 체크 -> 문서 별 세션 공유여부 체크 -> Access Point 접속 -> 세션공유시작-> 주소공유 |
-예시
1) System-Servers-Document-Allow Session Collaboration 체크
그림 120 세션공유-1
2) Documents-User Documents-해당 파일선택-Session Collaboration 체크
3) Access Point 접속 - 해당파일 Open-세션공유시작
그림 121-세션 공유 시작
4) 세션 공유 시작 및 주소 공유
그림 122 세션 주소 공유
5) 결과화면
그림 123 화면이 공유된 모습
2.38 컨테이너 박스를 이용한 Auto minimize 기능
화면에 영역을 나누어 차트를 표현하는 방법
1) Create Container 박스를 선택한다.
2) 보고싶은 Objects들을 선택한다.
3) Properties의 Presentation탭을 선택하여 Appearance를 원하는 것으로 변경한다
Appearance 속성 - Tabs at top - Tabs on the left - Tabs at bottom - Tabs to the right - Dropdown at top |
그림 124 컨테이너 박스를 이용한 Auto Minimize기능
2.39 차트에 해당 Dimension의 단위 표현
해당 Dimension에 단위를 표현
1) Chart 설정
1-1) Chart Properties의 Number탭을 선택한다
1-2) Symbol에 나타낼 단위를 입력한다
그림 125 차트 단위 표현
2.40 업데이트되는 날짜파일 리로드하는 기능
같은 레이아웃의 파일이 여러개인데 한개의 테이블로 보이게 하는 방법. 파일명이 매달이나 매일 변경되어 A_20140101, A_20140102,... 이런식으로 증가할 경우
1) 파일 불러오기
1-1) File의 Edit Script를 선택(단축키 : Ctrl + E)
1-2) Table Files..클릭하여 로드시킬 테이블을 선택한다
1-3) 불러온 스크립트에서 파일명을 ' * '을 사용하여 변경한다
- 참고 이미지
그림 126 업데이트되는 파일이 있는 폴더
그림 127 Edit Script
그림 128 결과 화면
2.41 Select in Field에서 복수 값 입력
Trigger나 Action 수행 시에 생성되는 Select in Field의 Search String에 복수 값을 입력하여 나타내는 기능
일반 문자나 숫자 복수 값 입력 시 : (A|B) <-A 또는 B검색 변수나 필드 입력 시 : = '(' & 'A' & '|' & 'B' & ')' <-변수 A 또는 B검색 |
-예시
복수의 검색 값(포도,바나나)을 받아 조회하여 a 필드 값에 복수 선택이 된 예시
그림 129 복수 선택 적용이 된 예시
2.42 페이징 처리
결과값이 많은 차트를 페이징 처리하여 볼 수 있는 기능
-설정방법
변수설정 -> 페이지 앞뒤 버튼 및 표기 버튼 생성 -> 차트 내부에 랭킹 설정 |
1) 변수설정
vRows - 5 한 페이지에 나타낼 수량
vPage - 1 현재 페이지 수
vRankFrom - =(vPage-1)*vRows+1 페이지 첫번째 숫자
vRankTo - =vRankFrom+vRows-1 페이지 마지막 숫자
vPageCount - =Ceil(Count({1}DISTINCT Name)/vRows) 현재 페이지 카운트
2) 페이지 앞 뒤 버튼 및 표기 버튼 생성
"Previous" or "<<" : 뒤로가기 버튼
=RangeMax(vPage-1, 1).
"Next" or ">>" : 앞으로 버튼
=RangeMin(vPage+1,vPageCount)
표기버튼:
='Page ' & vPage & ' of ' & Ceil(Count(Distinct Name) / vRows)
3) 차트 내부 랭킹 설정(Dimension)
- 기본설정 예시 -
=Aggr(If(Rank(Aggr(Sum(Value), Name)) >= vRankFrom And Rank(Aggr(Sum(Value), Name)) <= vRankTo, Name), Name) |
-실제 설정예시
=Aggr(If(Rank(DT_INSACC*-1 ) >= vRankFrom And Rank( DT_INSACC*-1) <= vRankTo,DT_INSACC), DT_INSACC) : 날짜순 배열을 위해 *-1을 입력. |
4) Expression은 평소 차트와 똑같이 입력.
5) 실제 결과 화면
3. 매크로
3.1 매크로를 이용하여 DB와 연결.
Sub Update_Comment Rem**≪개체 선언≫ Dim objADO -----------------------------> 데이터베이스 연결 개체 선언 Dim objRs -----------------------------------> result set 개체 선언 Dim strSQL ---------------------------------> 수행할 sql문 개체 선언 Rem**≪필드에서 불러올 값을 담아서 VBSCRIPT 변수에 담는 방법≫ vcomment = ActiveDocument.GetVariable("Variable1").GetContent.String ccomment = ActiveDocument.GetVariable("Variable2").GetContent.String vfield = ActiveDocument.GetVariable("Variable1").GetContent.String cfield = ActiveDocument.GetVariable("Variable2").GetContent.String Rem**≪Create ADO Object ADO 오브젝트 생성≫ Set objADO = CreateObject("ADODB.Connection") --------> 데이터 베이스 연결 objADO.Open "Provider=MSDAORA;Data Source=orcl;UserID=mgh1031;Password=rhksghd1;" --> 연결 설정* Rem**≪Set SQL SQL문 작성≫ strSQL=" UPDATE EXAM SET SU = '"&vcomment&"' WHERE CLOSES = '"&ccomment&"'" └--> 변수를 받아올때 '"&변수명&"' 으로 지정. objADO.BeginTrans ----------------------------> 트렌젝션 시작 objADO.Execute(strSQL), iAffected ----------------> 트렌젝션 실행 objADO.CommitTrans objADO.Close Msgbox("Comment updated ") -----------------------> 성공 메세지 박스 End Sub
|